안녕하세요 웹 풀스택 개발과 임베디드, IoT 개발을 하고있는 초보 개발자입니다.저는 본업은 임베디드 개발을 하며 부업으로 웹 서비스 개발을 하고있습니다.제 고민은 프로젝트의 견적 산출, 클라이언트와의 견적 충돌이 고민입니다.올해 초 친구의 부탁으로 친구 회사의 방문자 출입 관리 프로젝트를 진행 한적이 있습니다.오래된 친구라 저도 커리어와 프로젝트 경험을 쌓을겸 무료로 진행했었습니다.그러나 친구가 회사측에 강력하게 항의 하여 수고비라도 줘야 한다는 명목으로 친구의 회사는 저에게 200만원을 줬습니다.그리고 시간이 흘러 얼마 전, 친구 회사의 계열사에서 연락이 와서 그 회사도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다고 하였습니다.이 프로젝트는 친구와 관련된것도 아닌 일반 프로젝트인데 계열사에서는 200만원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300만원 이상은 힘들다고 합니다.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프로젝트의 가치는 1000 ~ 1500만원 정도 되는거 같습니다.그래서 친구 회사의 계열사이기도 하고 어떻게 연결이 되었다싶어 가격을 낮추어 800정도에 견적을 냈는데 계열사측에서는 부담이 많이 된다고 하여 좀 더 다운된 600후반의 견적을 다시 주었습니다.그래도 계열사는 300이상은 힘들거 같다고 하며 고민을 해본다고 합니다.저의 프로젝트 가치를 정확하게 추산 하고 싶습니다. 견적을 낼 때 기준이 되는 단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1인 개발최종 개발 기간 4개월유저 회원가입/로그인/방문신청/신청전 안전교육 동영상 스트리밍/안전교육퀴즈/신청내역 조회관리자 권한변경/방문승인,반려/공지사항 작성/엑셀 다운로드/부서편집/부서 부여경비실 방문자 확인/방문자 입문,출문 시간 체크방문 승인,반려시 문자서비스/nice 본인인증/방문신청시 해당 부서 메일 알림/방문자 안전교육 초기화보안/ssl인증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CRUD기타 호스팅 및 웹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전반적인 기술 등/자체 서버(남는 컴퓨터로 서버화 시켜줬음) 이런 기능들이 들어가고 각 일반유저, 관리자, 경비실 페이지가 따로 존재 합니다. 유저의 등급에 따라 로그인시 자동으로 접속되게 되어있습니다. 이런 프로젝트가 제가 생각할때는 1000~1500 정도라 생각하는데 너무 비싸게 측정한건가요? 뎁스노트 선배님들이 생각하실 때 적정가는 어느정도일거라 생각하실까요?앞서 언급된 상황대로 견적을 보낸 상황과 클라이언트 간의 견적 간극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는 상황입니다.이럴 때는 대처를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300에 받고 치우자니 다른 프로젝트가 넘어왔을 때도 그렇게 요구 할 거 같고, 견적대로 진행 하자니 진행을 안할거 같고... 고민입니다.
58
8
0
무린·2025-10-22
계열사라도 회사는 회사입니다. 감정 빼고 판단하세요.
닥터핸·2025-10-22
결국 중요한 건 이걸 내가 즐겁게 할 수 있는가 같아요.300이면 억울할거고, 1000이면 책임감 생기죠.본인도 납득할 수 있는 금액이어야 오래 갑니다.기준을 스스로 세워두는 게 진짜 프리랜서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