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백엔드 개발자 커리어로 시작해 사회경험을 쌓고 싶은 컴공과 대학생입니다. 우선, 개인적인 제 상황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올해 10월에 전역하고 내년부터 컴퓨터공학과 2학년 과정을 수료할 예정입니다. 군입대 전, 대학교 1학년 신분으로 연합동아리 UMC에서 백엔드 개발진으로 참가해 프로젝트를 완수해봤고, 그외에도 해커톤, 교내 팀 프로젝트 리더로 참가하면서 여러가지의 백엔드 개발자로서 프로젝트 역량들을 쌓아뒀습니다. 개인적인 제 능력은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설계, 개발, 배포까지 수행할 능력은 지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냉정한 사회 속에서 어떤 한 기업에 들어가서 개발을 수행할 능력까지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군 전역을 한지 얼마되지 않았기에, 프로젝트 동아리의 구성원으로 활동하기에는 여건상 보장할 수 없어서 현재는 스스로 백엔드 개발 커리어를 공부해야됩니다. 제가 뎁스노트 커뮤니티 개발자 여러분께 여쭤보고 싶은 점은 실전에서 개발된 서비스 유지관리에 있어서 필요한 무수히 많은 전략 및 스킬들이 있지만 이들을 어떻게 학습하고 배워나갈 수 있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개인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건, 개발 툴에 대한 기초 이론과 같은 건 시중에 여러 강좌가 많이 나와있지만, 실전에서 활용되고 있는 디테일한 전략 및 스킬들을 어떤 방식으로 학습을 할 수 있을 지 궁금합니다. 앞으로 제 커리어에 대한 부분이라 질문이 다소 길게 작성되었네요 글을 끝까지 읽어주시고 답변해주시면 정말로 감사하겠습니다..
아마도 실전 능력을 키우고 싶어 하시는 의지가 강하신 것 같습니다. 이미 기획, 설계, 개발, 배포까지 경험을 해보신 점에서 많은 가능성이 보입니다. 그렇지만 더 실전에 가까운 경험을 통해 한 단계 더 성장하고 싶으신 것 같아 아래와 같이 몇가지 방향을 말씀드려봅니다. 1. 자신만의 프로젝트 지속 운영 실전을 경험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스스로 ...
20살 때 학교를 가지않고 제적을 당하고 3년이란 시간을 방황하며 살다가 정말 백엔드 개발자가 하고싶어 며칠전부터 다시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첫 단추가 중요하듯이 주변에 엄청 물어봤지만 모두 다 다른 방법으로 공부를 해왔기 때문에 각각 의견이 달라 여기에 조금이나마 물어봅니다 노베이스 백엔드개발자로 시작하는데 , 첫 스타트 공부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리고 자격증 또한 어떤 자격증을 따야할지 모르겠습니다 현재 자격증 공부는 정보처리기능사만 준비 중인데 이러한 자격증도 따놓으면 좋다 라고 하는 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댓글 관련 해서 질문드립니다. 게시판을 하나 만들고있는데 CRUD , 페이징 처리는 다 완료하였습니다. 이제 댓글 하나만 남았는데 처음에 댓글 AJAX 등록 및 목록 불러오기조차 되지않아서 3~4일간 노력한끝에 등록 및 불러오기를 구현 했습니다!! 근데 한가지 문제가 또 발생하더라구요 .. 댓글이 제가 선택한 게시글의 상세보기에 등록되는것인데 .. 1-1) 게시글의 상세보기에 들어가면 댓글이 나오지않고 , 꼭 댓글등록 버튼을 눌러야만 목록이 보입니다. 1-2) 그리고 제가 댓글 등록을 모달창으로 구현하였는데 댓글등록버튼을 누르면 모달창에 꺼지지가않습니다 ..ㅠ 1-3) 목록이 보이고 , 다시 새로고침을 누르면 댓글 리스트가 사라집니다. -> 그래서 제가 이것저것 해본결과 왠지 NoticeBoardController에 있는 "글 상세보기 (주석)" 에 NoticeRepltyController에 있는 "댓글 list불러오기 (주석)" 을 추가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님 제가 방향을 잘못잡고있는건가요 ..? 그렇게 추가해볼라니까 return 을 두개를 못하니 계속 막혀있습니다 ㅠㅠ
페이지를 처음 로드할 때 댓글 리스트를 로드하려면 게시글 상세보기 컨트롤러에서 댓글 리스트를 불러오는 코드를 추가해야합니다. 그러나 두 개의 return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댓글 리스트를 모델에 추가하여 뷰에 전달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해볼 수 있습니다. import org.zerock. service. EventNotiBoardService:
im...
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은 예비 고1이에요 백엔드 개발자로 공부 순서가 궁금하여 질문 올립니다 현재 배운 건 c언어이고 이제 막 생활코딩의 자바 수업 유튜브로 배우고 있어요 최종적으로는 스프링 쪽으로 취업이 목표이지만 페이스북처럼 계시물 올리고, 채팅 등등의 기능을 혼자서 구현할 만큼의 실력이 현재로서의 목표입니다. 근데 여기서 스프링 공부법이 너무 헷갈립니다ㅠ Jsp,서블릿 배우고 스프링 배우라는 분들도 있고고바로 스프링부트부터 배우라는 분들도 있고 스프링에서도 mvc jpa등등 뭐가 많더라구요 그래서 공부 순서 좀 자세하게 알려주실 분 계신가요 또 html,css,js도 해야 된다고 하시던데 어느정도의 지식이 필요한가요 아무 사이트 클론 코딩이 가능할 정도의 실력을 가져야 할까요? ((현재로선 대학 진학이 아니라 취업이 목표이고 변함 없을 예정입니다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해 Spring은 하나의 도구이지 꼭 Spring을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꼭 스프링부터 공부하지 않아도 상관없고 간단하게는 PHP라든가 Node.js처럼
빠르게 웹서버를 만드는 것부터 해보시고 스프링을 보셔도 상관없을 것 같습니다.
만약 스프링을 공부한다고 하실 때도 JSP,서블릿을 먼저 보든 ...
안녕하세요 저는 스프링으로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은 학생입니다. 제가 요즘 백엔드 공부랑 같이 코테준비도 할려는데 이게 무슨 언어로 해야할지 잘모르겠네요.. 어떤 사람들은 스프링으로 할니까 자바로 진득하게 코테준비하는게 좋다고 말하고 어떤사람들은 그래도 코테 준비는 파이썬으로 하는게 좋다고 하네요... 누구 말을 들어야 할지 모르겠어요.. 파이썬이랑 자바실력은 둘다 고만고만한 수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파이썬으로 코테준비하는게 더편한데.. 제가 생각하는 자바의 장점은 자바에 조금더 익숙해질수있다는 것이고 파이썬의 장점은 자바에 비해 빠르고 간편하게 코테 준비를 할수있음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요약하자면 1. 백엔드 개발자(spring)가 되고 싶음 2. 코테준비도중 무슨언어를 해야 좋을지 모르겠음. 각 언어의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 자바 - 자바에 대해 조금더 익숙해질수있음, 한가지 언어만 진득하게 해도 부족함. 파이썬 - 코테를 조금더 쉽고 간단하게 직관적으로 준비할수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