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뎁스노트
로그인
홈
언어
프레임워크
개발도구
네크워크와 서버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 관리
데이터 사이언스
이야기
사진
모집 · 홍보
kimho의 블로그
kimho의 블로그
로그인
회원가입
글쓰기
글 올리기
개발 노트, 이야기를 작성해보세요.
질문하기
부담없이 무엇이든 질문하세요.
사진 올리기
사진을 올려보세요.
Node.js
Node.js: 드디어 LTS로 Require ESM을 기본 활성화하다!
kimho
6일 전
팔로우
팔로잉
최근 개발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준 Node.js의 업데이트, **"Require ESM 기본 활성화"** 소식을 들으셨나요? 이 변화는 Node.js 생태계에 큰 변화를 예고합니다. 그 이유와 자세한 내용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 새로운 시대를 여는 Require ESM Node.js 18 버전부터 ESM(ECMAScript Module)을 공식적으로 지원했지만, 여전히 CommonJS 방식과 병행해야 했습니다. 이제는 **LTS(Long Term Support)** 버전에서 `Require` 문법을 사용해도 ESM이 기본으로 활성화됩니다. ![img](https://devsnote.com/assets/data/ck_upload/_upload_7801b86127df7dc4e78cf527c14012b7.png?v=1734315742) ### 이 업데이트가 중요한 이유는? 1. **ESM의 기본 활성화** - ESM은 JavaScript의 표준 모듈 시스템으로, CommonJS보다 빠르고 현대적인 방식입니다. - 브라우저 환경에서도 사용되는 표준이므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개발자 경험의 향상** - CommonJS와 ESM 간의 혼란을 줄이고,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를 쉽게 만듭니다. - 더 많은 라이브러리와 프로젝트가 ESM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3. **성능 최적화** - ESM은 런타임에서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동작하며, Tree Shaking 같은 최적화가 가능하게 됩니다. --- ### 업데이트 적용 방법 #### 기본 설정 확인하기 LTS 버전에서는 별도의 설정 없이도 ESM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프로젝트에서 CommonJS를 사용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안전하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1. **패키지 업데이트**: ```bash npm install --save-dev node@lts ``` 2. **package.json에 `type` 추가**: ```json { "type": "module" } ``` 이 설정을 통해 해당 프로젝트가 ESM 기반으로 동작함을 명시합니다. 3. **파일 확장자 확인**: ESM에서는 `.js` 파일이 기본적으로 모듈로 처리됩니다. CommonJS 파일은 `.cjs` 확장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코드 변경 필요 사항 ESM으로 전환할 때는 기존 `require` 문법을 `import`로 변경해야 합니다. 예: ```javascript // 기존 방식 (CommonJS) const fs = require('fs'); // 새로운 방식 (ESM) import fs from 'fs'; ``` --- ### 결론 이번 업데이트는 단순한 기능 추가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CommonJS에서 ESM으로 넘어가는 흐름은 단순히 기술적인 변화가 아니라, **JavaScript의 미래를 정의**하는 방향성을 나타냅니다. 특히,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에서 동일한 모듈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개발자들에게 큰 이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하지만 기존 프로젝트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중급 이상의 개발자라면 이번 기회를 통해 ESM 전환을 고민하고, 프로젝트를 현대화하는 데 집중해보시길 추천합니다. --- 출처: [Node.js Blog - Require ESM 기본 활성화](https://socket.dev/blog/node-js-delivers-first-lts-with-require-esm-enabled)
esm
1
0
0
23
신고하기
사용자 차단하기
kimho
6일 전
팔로우
팔로잉
댓글
0
올리기
답변 작성
답변 모드로 쓰기
올리기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 작성자가 되어주세요 :)
1
0
0
신고하기
사용자 차단하기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 작성자가 되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