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ho

kimho

WebMobilePHPJavascriptHTMLCSSNode.jsiOSAndroidReact NativeAWS
kimhokimho· 2개월

마케터, 디자이너, 기획자가 개발을 배우면 좋은 이유 😊

개발은 이제 개발자만의 영역이 아닙니다. 마케터, 디자이너, 기획자분들도 기본적인 개발 지식을 갖춘다면 업무 효율이 올라가고 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마케터, 디자이너, 기획자가 개발을 배우면 좋은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1. 협업의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개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개발자와 협업할 때 원활한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기획자는 개발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기능을 설계할 수도 있고, 디자이너는 개발 구현이 어려운 UI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개발 개념을 익히신다면 기능 기획, 디자인, 개발 간의 갭을 줄이고 더욱 원활한 협업이 가능해집니다. 기획자라면 API와 데이터 구조를 이해하며 현실적인 요구 사항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디자이너라면 CSS, HTML, JavaScript 기초를 익히면 디자인을 코드로 구현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마케터라면 웹사이트 최적화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해 간단한 코드 수정이 가능해집니다. 2. 업무 자동화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개발을 배우면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예를 들어, 마케터는 파이썬이나 자바스트립트를 활용하여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자동화할 수 있고, 디자이너는 피그마 플러그인이나 스크립트를 활용해 디자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기획자는 간단한 스크립트를 통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마케터: 구글 시티와 스크립트 기능을 활용한 데이터 자동화 디자이너: CSS와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인터랙션이 있는 프로토타입 제작 기획자: 웹 크롤링을 이용하여 시장 조사 자동화 3. 디지털 마케팅 및 데이터 분석 역량 강화 📈 마케터가 개발을 알게 되면 SEO 최적화, A/B 테스트, 데이터 분석 등의 업무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간단한 HTML, CSS 수정이 가능하면 웹사이트 최적화가 쉬워지고,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하면 트래킹 코드 설정도 직접할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페이스북 픽셀, GTM(Google Tag Manager) 같은 마케팅 툴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SEO 최적화를 위한 메타 태그 선정 및 수정 구글 애널리틱스 이벤트 트래킹 코드을 직접 추가 자바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사용자 행동 분석 데이터 수집 기법 적용 4. 프로토타입 제작 및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 디자이너나 기획자가 개발을 배우면 실제 코딩 없이도 노코드 툴을 활용하여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점점 도구가 좋아져서 웹사이트나 앱의 초기 버전을 직접 만들면서 개발자 없이도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있습니다. 노코드나 로우코드 도구를 이용하여 프로토타입 제작 간단한 HTML/CSS/자바스크립트를 배워서 직접 웹 프로토타입 제작 5. 개발 지식이 경력 확장에 도움이 됩니다 🚀 IT 산업에서는 개발 지식이 선택이 아닌 필수 역량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기획자가 개발을 배우면 **PM(프로덕트 매니저)이나 PO(프로덕트 오너)**로 성장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가 개발을 배우면 UI/UX 엔지니어, 인터랙션 디자이너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마케터 또한 개발 지식을 활용하여 그로스 해킹, 데이터 마케팅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기획자 → PO/PM으로 커리어 확장 디자이너 → UI/UX 엔지니어,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확장 마케터 → 데이터 기반 마케팅 및 퍼포먼스 마케터로 성장 6. 스타트업 환경에서 더욱 가치 있는 인재가 됩니다 🌟 특히 스타트업에서는 멀티 플레이어가 중요합니다. 개발뿐만 아니라 기획, 디자인, 마케팅까지 어느 정도 다룰 수 있는 사람은 채용 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건 당연한 얘기입니다. 개발 지식이 있다면 스타트업에서 빠르게 MVP를 제작하고 시장 검증을 할 수도 있습니다. 초기 스타트업에서 개발팀과 협업 없이 웹사이트/랜딩 페이지 제작 가능 성장 단계에서 개발자와의 원활한 소통으로 빠른 실행 가능 작은 규모의 팀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더욱 많은 기회 확보 7. 개인 프로젝트를 직접 실행할 수 있습니다 ✨ 기획자, 마케터, 디자이너가 개발을 배우면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현실화할 수 있습니다. 더 이상 개발자에게 의존하지 않고 직접 웹사이트나 간단한 앱을 만들고 운영할 수 있으며, 사이드 프로젝트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습니다. 개인 블로그, 포트폴리오 웹사이트를 직접 제작 가능 간단한 사이드 프로젝트로 서비스 런칭 및 운영 크지 않더라도 개발을 활용한 프리랜서 및 부업 기회 확대 요약 마케터, 디자이너, 기획자가 개발을 배우면 협업이 쉬워지고, 업무 자동화가 가능하며, 더 나아가 새로운 커리어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IT 산업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개발 지식이 필수적인 역량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단순히 개발자가 되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할 줄 아는 것이 큰 강점이 될 것입니다.
202
0
kimhokimho· 2개월

초보자가 알아두면 좋은 2025년 최신 기술 트렌드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면 "어떤 기술을 배워야 할까?"라는 질문이 가장 먼저 떠오르죠. 요즘 세상은 정말 빠르게 변하고 있어서, 뭘 배워야 할지 선택이 쉽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초보자분들이 꼭 알아두면 좋을 기술 트렌드와 그 이유를 쉽게 풀어보려고 해요. 이 글을 보면서 앞으로 어떤 기술을 배우고 싶은지 한번 고민해보세요! 1. AI와 머신러닝: 어디에나 쓰이는 기술 요즘 AI는 정말 안 쓰이는 데가 없어요. 웹, 앱, 게임, 헬스케어 등 어디에서나 쓰이고 있죠. 머신러닝을 배우면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자동으로 무언가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돼요. 어디에 쓸 수 있나요? 온라인 쇼핑몰에서 개인 맞춤형 상품 추천 시스템을 만들거나, 교통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경로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이미지 분류를 통해 품질 검사를 자동화할 수도 있어요. 간단한 예제: 머신러닝 모델 만들기 (Python)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iris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 데이터셋 로드 iris = load_iris() 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iris.data, iris.target, test_size=0.3, random_state=42) # 모델 학습 model = RandomForestClassifier() model.fit(X_train, y_train) # 정확도 확인 accuracy = model.score(X_test, y_test) print(f"모델 정확도: {accuracy * 100:.2f}%") 위 코드는 간단하게 머신러닝 모델을 만들어 데이터를 학습시키고, 얼마나 잘 학습했는지 확인하는 예제입니다. 이 정도라면 생각보다 어려워 보이진 않죠? 2. 클라우드 컴퓨팅: 내 컴퓨터가 아닌 클라우드에서 작업하기 클라우드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AWS, Google Cloud 같은 서비스들인데, 쉽게 말하면 인터넷에 있는 가상의 컴퓨터를 빌려서 작업하는 거라고 생각하면 돼요. 회사들이 서버를 직접 운영하는 대신 이런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추세죠. 클라우드를 어디에 쓸까요? 간단한 웹사이트를 호스팅하거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거나, AI 모델을 클라우드에서 돌려보는 데 사용합니다. 직접 해보기: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1. AWS S3에 버킷을 만들어보세요. (S3는 AWS에서 제공하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입니다.) 2. 정적 웹사이트 옵션을 활성화하세요. 3. HTML 파일을 업로드하고\, 제공된 URL로 접속해보세요. 3. 웹 개발의 트렌드: Next.js와 Astro React를 들어보셨다면 Next.js는 아마 익숙할 거예요. Next.js는 SEO(검색엔진 최적화)와 서버사이드 렌더링(SSR) 같은 기능을 추가한 React 기반 프레임워크예요. Astro는 정적 사이트에 특화된 새로운 도구인데, 빠르고 가볍게 웹사이트를 만드는 데 좋아요. Next.js와 Astro의 차이 Next.js는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고, Astro는 블로그나 포트폴리오 같은 정적 사이트에 최적화되어 있어요. Next.js 시작하기 npx create-next-app my-next-project cd my-next-project npm run dev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기본적인 Next.js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 한 번 실행해보고 직접 페이지를 만들어보세요! 4. WebAssembly(WASM): 브라우저 속도를 높이는 비밀 무기 브라우저에서 게임처럼 고성능 앱을 실행하려면 속도가 중요하잖아요? WebAssembly는 이런 문제를 해결해주는 기술이에요. C, Rust 같은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브라우저에서 빠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줘요. 왜 WebAssembly가 빠를까요? 일반 웹페이지는 JavaScript로 동작하는데, JavaScript는 해석(interpreted) 언어라 브라우저가 실행할 때 속도가 느릴 수 있어요. 반면 WebAssembly는 미리 컴파일된 코드(binary 형식)로, 브라우저가 더 빠르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고성능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거죠. 직접 해보기: Rust로 WASM 빌드 Rust를 설치합니다: curl --proto '=https' --tlsv1.2 -sSf https://sh.rustup.rs | sh wasm-pack을 설치하세요: cargo install wasm-pack Rust 코드를 WebAssembly로 컴파일해보세요. 5. No-Code와 Low-Code: 코딩 없이 앱 만들기 코딩을 못해도 앱을 만들 수 있다면? Bubble이나 Webflow 같은 도구들은 코딩 없이도 쉽게 앱이나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게 해줘요. 물론 복잡한 기능은 제한이 있지만, 간단한 프로토타입 제작에는 최고예요. 추천 도구 Bubble: 앱 제작. Webflow: 웹사이트 디자인. Zapier: 앱 간 자동화. 6. IoT와 엣지 컴퓨팅: 스마트 기기의 시대 IoT(사물 인터넷)는 스마트 기기가 서로 연결되는 기술이에요. 스마트홈, 헬스케어, 공장 자동화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죠. 엣지 컴퓨팅은 데이터를 중앙 서버가 아니라 기기 자체에서 처리해 빠른 반응을 가능하게 해줘요. 해볼 만한 프로젝트 Raspberry Pi로 스마트 조명 만들기. Arduino로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시각화하기. 7. 블록체인과 Web3: 탈중앙화의 시작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안전하고 투명하게 저장하는 기술이에요. Web3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탈중앙화된 인터넷을 지향합니다. 예를 들어, NFT나 암호화폐가 블록체인의 대표적인 사례예요. 한번 시도해보기: NFT 발행 MetaMask 지갑을 만들어보세요. OpenSea에서 NFT를 발행해보세요. Ethereum 네트워크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해보세요. 8. 모바일 개발 트렌드: 크로스 플랫폼 vs 네이티브 모바일 앱 개발을 시작하려면 크게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있어요. 바로 크로스 플랫폼 도구와 네이티브 개발 언어입니다. 크로스 플랫폼 도구는 한 번의 코드 작성으로 Android와 iOS 앱을 동시에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네이티브 언어는 특정 플랫폼에 최적화된 앱을 만들 때 사용됩니다. 크로스 플랫폼 도구: Flutter와 React Native Flutter: Google에서 만든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로, 하나의 코드베이스로 Android와 iOS 앱을 동시에 개발할 수 있어요. 풍부한 UI 위젯과 높은 성능이 장점이에요. React Native: Facebook에서 개발한 크로스 플랫폼 프레임워크로, JavaScript를 사용해 앱을 개발할 수 있어요. 다양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활용할 수 있고, 기존 웹 개발자가 쉽게 적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네이티브 개발 언어: Kotlin과 Swift Kotlin: Google이 공식 지원하는 Android 개발 언어로, 간결하고 가독성이 좋아서 Java를 대체하며 인기를 끌고 있어요. Swift: Apple이 만든 iOS 개발 언어로, 간결한 문법과 강력한 성능 덕분에 iOS와 macOS 앱 개발에 최적화되어 있어요. Flutter와 React Native 시작하기 # Flutter 예제 flutter create my_flutter_app cd my_flutter_app flutter run # React Native 예제 npx react-native init MyReactNativeApp cd MyReactNativeApp npx react-native run-android # Android 실행 npx react-native run-ios # iOS 실행 Kotlin과 Swift 시작하기 Kotlin: Android Studio를 사용해 새 프로젝트를 만들고 Kotlin을 선택해 시작하세요. Swift: Xcode에서 SwiftUI 프로젝트를 생성해 간단한 UI를 만들어보세요. 예를 들어, 버튼을 눌렀을 때 "Hello, World!"를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어요. 9. GraphQL: 유연하고 효율적인 API GraphQL은 기존의 REST API보다 더 유연하게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을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에요.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만 요청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에요. GraphQL 시작하기 Apollo Server로 GraphQL 서버를 만들어보세요. Apollo Client로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요청해보세요. 10. 사이버 보안: 안전한 코드는 기본 요즘 해킹 뉴스 많이 보셨죠? 보안은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 할 기본 소양이에요. SQL 인젝션, XSS 같은 보안 위협을 이해하고 예방하는 방법을 배우세요. JWT는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인증 정보를 서버 대신 토큰에 담아 클라이언트와 주고받는 방식인데, 특히 면접에서도 자주 나오는 개념이라 알아두면 큰 도움이 됩니다. 해볼 만한 보안 프로젝트 Node.js로 JWT 인증 시스템을 만들어보세요. 로그인, 토큰 발급, 검증 기능을 추가해보세요. 결론 기술 트렌드는 빠르게 변하고 있지만, 중요한 건 꾸준히 배우고 적용해보는 거예요. 한 번에 다 익히려고 하기보다는, 하나씩 실습하면서 경험을 쌓아보세요. 기술을 익히는 즐거움은 해본 사람만 아는 법이니까요. 지금 바로 시작해보세요!
162
0
kimhokimho· 3개월

초보 마케터를 위한 개발 관련 트렌드 쉽게 이해하기

"개발은 개발자만 알아야 한다? 아닙니다! 마케터도 기본을 알면 업무에 큰 도움이 됩니다." IT 회사에서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다면, 개발 관련 트렌드에 대한 이해는 큰 경쟁력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개발 경험이 없는 마케터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최신 개발 트렌드와 기본 개념을 알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1. API란 무엇일까?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이 서로 대화할 수 있게 도와주는 '언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예를 들어, 구글 지도 API를 사용하면 우리 앱에 지도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어요. <img src="https://developers.google.com/static/maps/documentation/urls/images/dir-bicycling-seattle.png?hl=ko" alt="구글 지도 API를 이용하여 경로를 표시하는 예" style="max-width: 600px; width: 100%; height: auto;"> API를 쉽게 이해하는 예 음식 배달 앱: 사용자들이 앱에서 주문하면, 이 정보는 배달 업체와 음식점의 시스템으로 전달되죠. 이때 API가 정보를 주고받는 역할을 해요. 소셜 미디어 연결: 다른 앱에서 "Google로 로그인" 또는 "Facebook 계정으로 가입" 같은 기능을 사용할 때 API가 필요합니다. 마케터가 홍보한다면?: "우리 API는 빠르고 안정적이며, 다양한 플랫폼과 연동 가능!" 추가 팁 API 문서 읽기: 마케터도 API 문서를 읽어 기본 기능을 이해하면 홍보 콘텐츠 작성에 도움됩니다. 실제 활용 사례 찾기: 자사의 API가 고객 문제를 해결한 성공 사례를 발굴하세요. REST API와 GraphQL 이해하기: REST는 가장 기본적인 API 방식이고, GraphQL은 더욱 유연한 데이터 요청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2. 클라우드 서비스: 더 이상 내 서버는 필요 없다? 과거에는 회사가 자체 서버를 관리했지만, 요즘엔 AWS, Azure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요. 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서비스라고 보면 됩니다. <img src="https://images.squarespace-cdn.com/content/v1/60cfd646701da4034512a1c5/ca3d678a-cbfc-4c9c-bc79-9d3be9fb907e/AWS-Cloud.png?format=2500w" alt="AWS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style="max-width: 600px; width: 100%; height: auto;"> 클라우드의 장점 비용 절감: 필요한 만큼만 쓰고, 쓰는 만큼만 지불해요. 확장성: 고객이 많아지면 서버를 더 추가할 수 있어요. 유연성: 언제 어디서나 데이터에 접근 가능. 클라우드 활용 사례 e-커머스: 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해 클라우드를 사용. 스트리밍 서비스: Netflix 같은 플랫폼은 클라우드를 통해 대량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제공. 마케터가 홍보한다면? "우리 서비스는 AWS 기반으로, 확장성과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추가 팁 클라우드 서비스 비교하기: AWS, Azure, Google Cloud의 주요 차이점을 이해하면 고객과 대화할 때 설득력이 높아져요. 클라우드와 보안문제: 클라우드 사용의 장점과 함께 데이터 보안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강조하세요. 3. 노코드(No-Code)와 로우코드(Low-Code): 비개발자도 앱을 만들 수 있다? 요즘에는 코딩을 몰라도 앱을 만들 수 있는 도구가 많아요. Wix, Bubble 같은 플랫폼이 대표적이에요. 비개발자가 간단한 웹사이트나 앱을 만들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img src="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t1.daumcdn.net/brunch/service/user/cIuy/image/CrFQewdhy4Oj8p--Dj2ZHCIFzTE.png" alt="버블을 이용한 노코드 앱 개발" style="max-width: 600px; width: 100%; height: auto;"> [이미지: 버블을 이용한 노코드 앱 개발 (이미지 출처: https://brunch.co.kr/@famelee/27)] 차이점 No-Code: 완전히 코딩 없이. Low-Code: 최소한의 코딩만으로. 활용 예시 마케팅 캠페인시 코딩없이 제작: 랜딩 페이지나 간단한 프로모션 웹사이트 제작. 내부 툴 제작에 사용: 회사 내부에서 사용할 간단한 데이터 관리 앱. 추가 팁 도구 선택하기: Bubble은 앱 제작, Webflow는 고급 웹 디자인에 적합해요. 직접 만들어 보기: 간단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보며 No-Code 도구가 갖고 있는 한계를 체험하세요. 고객 사례 활용: No-Code 도구를 통해 빠르게 성공한 고객 사례들을 소개하세요. 4. 데이터가 왜 중요한가요? 현대 마케팅은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요. Google Analytics, Firebase 같은 툴을 사용하면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쉽게 분석할 수 있어요. <img src="https://www.reflectivedata.com/wp-content/uploads/2017/04/FireShot-Capture-2-Acquisition-Ov__-https___analytics.google.com_analyt.png" alt="Google Analytics를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style="max-width: 600px; width: 100%; height: auto;"> 데이터를 활용한 홍보 전략 맞춤형 메시지 전달: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이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 성과 측정: 어떤 캠페인이 효과적이었는지 데이터로 확인. 세그먼트 타겟팅: 고객 그룹을 나눠 각기 다른 홍보 메시지를 제공. 데이터 활용 사례 e-메일 마케팅: 고객의 구매 이력을 분석해 맞춤형 제안. A/B 테스트: 두 가지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두 가지 광고 메시지 중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지 데이터를 통해 판단. 추가 팁 데이터 시각화 활용: 그래프와 차트를 활용해 데이터를 쉽게 전달하세요. 고객 행동 분석: 고객의 접속 시간, 클릭 패턴 등 고객의 행동을 파악해 홍보 전략을 세우세요. 데이터 보안 강조: 고객 데이터가 안전하게 관리된다는 점을 홍보하세요. 5. 최신 트렌드: AI와 머신러닝 AI(인공지능)와 머신러닝은 이제 IT 산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예요. 예를 들어, 고객이 좋아할 만한 제품을 추천하거나, 챗봇이 고객 문의를 처리하는 데 활용돼요. AI의 실제 사례 추천 시스템: Netflix가 "당신을 위한 추천"을 제공. 자동화된 고객 응대: AI 챗봇이 고객 질문에 실시간 응답. 이미지 인식: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제품 이미지를 업로드해 비슷한 상품을 추천. AI 활용 팁 고객 맞춤화: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광고를 제공. 자동화 도입: 반복적인 작업을 AI로 자동화해 업무 효율을 높이세요. 마케터가 홍보한다면? "우리 서비스는 AI 기반 분석으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추가 팁 AI 이해하기: 머신러닝, 딥러닝 등 주요 개념을 간단히 알아두세요. AI와 윤리: AI 사용 시 프라이버시 보호와 같은 윤리적 문제를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세요. 6. 오픈소스: 무료로 쓰는 고급 기술 오픈소스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수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뜻해요. 대표적인 예로는 리눅스, 워드프레스, 그리고 OpenAI의 GPT 모델 등이 있어요. 오픈소스를 활용한 성공 사례 스타트업: 초기 비용을 줄이기 위해 오픈소스를 활용. 커뮤니티: 개발자 커뮤니티는 오픈소스에 호의적이기 때문에 커뮤니티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음. 개발 생산성 향상: 이미 검증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개발 속도를 높임. 마케터가 홍보한다면? "우리 서비스는 최신 오픈소스 기술을 사용해 빠르고 유연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그래서 마케터도 개발 트렌드를 이해하면 업무에 큰 도움이 됩니다. API, 클라우드, No-Code, 데이터 활용, AI, 오픈소스 등은 모두 현대 비즈니스에서 중요한 요소예요. 이러한 개념을 알면 홍보 메시지를 더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요. 요컨대, 개발 트렌드는 단순한 기술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마케팅 전략의 깊이와 성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개발과 마케팅은 함께 성장할 때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233
1
4
0
HJOO'S
HJOO'S·2025-01-14
뎁스노트 뉴스레터 보고 의견남기기에  요청드렸던 주젠데 바로 뎁스노트 뉴스레터 3호에 반영되었네요!!! 도움되는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0^bb 
kimhokimho· 3개월

Smol Agents: 작은 도구로 거대한 자동화를 이루다

개발자라면 한정된 시간과 자원 속에서 최대의 생산성을 발휘해야 합니다. 하지만 반복 작업과 비효율적인 프로세스는 언제나 고민거리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Smol Agents입니다. Smol Agents는 최소한의 코드로 다목적 자동화 에이전트를 생성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입니다. 특히 Hugging Face의 블로그에서 말하는 Smol Agents는 오픈 소스 기반으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어 매력적인 도구입니다. 지금부터 Smol Agents가 어떻게 우리의 개발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Smol Agents란 무엇인가요? Smol Agents는 Hugging Face에서 개발한 프레임워크로, 다양한 API와 시스템을 간단하게 연결하여 자동화 작업을 처리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작지만 강력한" 에이전트를 생성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량화된 코드: 복잡한 설정 없이 몇 줄의 코드만으로 실행 가능합니다. 오픈 소스: 누구나 다운로드하고 수정 및 확장 가능. 다양한 API 통합: OpenAI API, Google Calendar 등과 손쉽게 연동. 사용 사례: Smol Agents로 작업 간소화하기 Smol Agents의 주요 활용 예시는 일정 관리입니다. 예를 들어, Google Calendar와 OpenAI API를 연동하여 자연어 명령으로 일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from smol_agents import SmolAgent agent = SmolAgent("google_calendar") agent.execute("내일 오후 3시에 '팀 미팅' 일정 추가해줘") 위 코드 한 줄이면 Google Calendar에 자동으로 일정이 생성됩니다. Smol Agents의 동작 방식 Smol Agents는 LLM(Large Language Model)과 사전 정의된 도구 세트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개발자가 자연어로 명령을 입력하면, Smol Agents는 이를 분석하고 적절한 API 호출을 통해 명령을 실행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음 주 화요일 오후 2시에 회의 일정 등록"이라고 입력합니다. Smol Agents는 자연어를 분석하고 Google Calendar API를 호출합니다. 결과적으로 일정이 등록됩니다. 이처럼 복잡한 작업을 간단히 처리할 수 있다는 점이 Smol Agents의 가장 큰 강점입니다. 설치 및 시작하기 Smol Agents를 사용하려면 Python 환경에서 간단히 설치할 수 있습니다.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세요. pip install smol-agents 설치 후에는 원하는 API 키를 설정하고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penAI API를 연동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import os from smol_agents import SmolAgent os.environ["OPENAI_API_KEY"] = "your-api-key" agent = SmolAgent("openai") response = agent.execute("이 문장을 영어로 번역해줘.") print(response) 이렇게 간단하게 설치와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누구나 빠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에게 Smol Agents가 주는 이점 Smol Agents는 다음과 같은 개발 환경 개선에 기여합니다. 효율성: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확장성: 다양한 API와의 연동으로 더 많은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친화적: 자연어로 작업을 지시할 수 있어 접근성이 높습니다. Smol Agents는 특히 1인 개발자나 스타트업 환경에서 유용할 것 같습니다. 적은 인력으로도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니까요. 요컨대, Smol Agents는 개발자가 단순 작업에 소모하는 시간을 줄이고 더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Hugging Face의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다는 점도 큰 매력입니다. Smol Agents로 생산성과 창의성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Hugging Face Blog - Smol Agents
619
1
0
닥터핸
닥터핸·2025-01-02
코드 몇 줄로 이렇게 강력한 기능을.. 대박입니다!
kimhokimho· 3개월

Node.js: 드디어 LTS로 Require ESM을 기본 활성화하다!

최근 개발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준 Node.js의 업데이트, "Require ESM 기본 활성화" 소식을 들으셨나요? 이 변화는 Node.js 생태계에 큰 변화를 예고합니다. 그 이유와 자세한 내용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새로운 시대를 여는 Require ESM Node.js 18 버전부터 ESM(ECMAScript Module)을 공식적으로 지원했지만, 여전히 CommonJS 방식과 병행해야 했습니다. 이제는 LTS(Long Term Support) 버전에서 Require 문법을 사용해도 ESM이 기본으로 활성화됩니다. 이 업데이트가 중요한 이유는? ESM의 기본 활성화 ESM은 JavaScript의 표준 모듈 시스템으로, CommonJS보다 빠르고 현대적인 방식입니다. 브라우저 환경에서도 사용되는 표준이므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 경험의 향상 CommonJS와 ESM 간의 혼란을 줄이고,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를 쉽게 만듭니다. 더 많은 라이브러리와 프로젝트가 ESM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성능 최적화 ESM은 런타임에서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동작하며, Tree Shaking 같은 최적화가 가능하게 됩니다. 업데이트 적용 방법 기본 설정 확인하기 LTS 버전에서는 별도의 설정 없이도 ESM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프로젝트에서 CommonJS를 사용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안전하게 전환할 수 있습니다. 패키지 업데이트: npm install --save-dev node@lts package.json에 type 추가: { "type": "module" } 이 설정을 통해 해당 프로젝트가 ESM 기반으로 동작함을 명시합니다. 파일 확장자 확인: ESM에서는 .js 파일이 기본적으로 모듈로 처리됩니다. CommonJS 파일은 .cjs 확장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드 변경 필요 사항 ESM으로 전환할 때는 기존 require 문법을 import로 변경해야 합니다. 예: // 기존 방식 (CommonJS) const fs = require('fs'); // 새로운 방식 (ESM) import fs from 'fs'; 결론 이번 업데이트는 단순한 기능 추가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CommonJS에서 ESM으로 넘어가는 흐름은 단순히 기술적인 변화가 아니라, JavaScript의 미래를 정의하는 방향성을 나타냅니다. 특히, 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에서 동일한 모듈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개발자들에게 큰 이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하지만 기존 프로젝트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중급 이상의 개발자라면 이번 기회를 통해 ESM 전환을 고민하고, 프로젝트를 현대화하는 데 집중해보시길 추천합니다. 출처: Node.js Blog - Require ESM 기본 활성화
114
1
0
kimhokimho· 4년

Jump Desktop에서 한글 자소 분리되는 현상 해결하기

Jump Desktop은 원격 컴퓨터에 접속할 때 유용한 앱입니다. 맥 to 윈도우, 윈도우 to 맥, 윈도우 to 윈도우, 맥 to 맥 접속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아이폰/아이패드 to 윈도우, 아이폰/아이패드 to 맥도 지원합니다.   제가 사용해본 원격 데스크탑 앱 중에 가장 쓸만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앱이 맥 to 윈도우로 접속시 한글 자소가 분리되는 현상이 있습니다. 검색해 보면 이 문제 해결을 못하신 분들이 많은 걸 볼 수 있습니다.   저도 이 문제를 고민하다가 해결 방법을 찾았습니다. 이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맥에서의 한영 전환 키와 윈도우에서의 한영 전환키가 같은 경우에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맥과 윈도우에서 한영 전환 단축키로 Shift + Space 키를 사용하는데  이 키를 누르는 경우 맥에서 한영 전환이 되는 순간 윈도우쪽에서의 전송도 한글 방식으로 바뀌기 때문인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Jump Desktop의 설정에서 이 부분을 해결해보았습니다. 먼저 Jump Desktop의 설정에서 "Keyboard & Mouse" 메뉴에서 "Keyboard Conversions"메뉴로 들어갑니다. 그런 다음 왼쪽 아래의 + 메뉴를 눌러서 아래와같이 키 변환을 추가합니다. 저는 맥에서 Ctrl + Space를 누르면 윈도우에서 Shift + Space가 먹도록 추가하였습니다. 이제 맥에서 키가 영문으로 선택된 상태에서 Jump Desktop으로 윈도우 접속 후  Ctrl + Space 키를 누르면 한영 전환이 잘 됩니다~
13.4K
3
1
0
·2021-02-10
·2021-02-10
kimhokimho· 5년

React Native에서 ListView를 FlatList로 변경하기

How to Replace a React Native ListView Component with a FlatList Component was officially deprecated in React Native 0.48. Sometimes, we ignore deprecation warnings (guilty! 🙈) and don't deal with… medium.com
1.3K
0
kimhokimho· 6년

“맥OS 10.15부터 아이패드를 외장 디스플레이로 사용 가능할 듯”

“맥OS 10.15부터 아이패드를 외장 디스플레이로 사용 가능할 듯” 맥을 사용 중이라면 아이패드도 사용 중일 가능성이 있다. 만일 아이패드를 맥에 연결해 외장 디스플레이로 사용할 수 있다면 좋지 않을까? 루나 디 www.itworld.co.kr 오오옷~ 기대되네요~~~ 두근두근...ㅎㅎㅎ
1.4K
0
kimhokimho· 6년

Sublime Text가 맥에서 구동이 안될 때

Sublime Text 3의  Build 3200 버전의 오류입니다만, 맥에서 외부 모니터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Sublime Text가 시작이 안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신기한 현상이네요..;;;)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Sublime Text의 gpu_window_buffer 설정 값을 false로 수정해야 합니다. Sublime Text가 구동이 안되는 상태이니까 다음과 같이 직접 수정해야 합니다.   먼저 아래 경로에 Preferences.sublime-settings 라는 파일을 만듭니다. /Users/[맥사용자계정]/Library/Application Support/Sublime Text 3/Packages/User/Preferences.sublime-settings 그런 다음 아래와 같이 설정을 추가합니다. { "gpu_window_buffer": false, } 혹은, 이미 설정 파일에 다른 설정들이 있다면 아래와 같이 하단쯤에 gpu_window_buffer를 추가합니다. { "auto_complete_triggers": [ { "characters": ".", "selector": "source.js" } ], "color_scheme": "Packages/User/Monokai (SL).tmTheme", "font_size": 16, "ignored_packages": [ "ConvertToUTF8", "Javascript", "Vintage" ], "gpu_window_buffer": false, } 파일을 저장하고 Sublime Text를 다시 구동하면 잘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K
0
kimhokimho· 6년

Localhost에서 https(SSL) 테스트 환경 만들기

How to test secure (https) services from localhost As a developer, if you want to integrate and test third party secure services with your server running on a local machine, you need to… medium.com Localhost에서 https(SSL) 테스트 환경 구축하려고 이거저거 시도해봤는데 이 방법이 제일 잘 되는 것 같네요^^ mkcert라는 툴을 이용해서 구축하는 방법입니다.
2.3K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