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

kimhokimho· 3개월

초보 마케터를 위한 개발 관련 트렌드 쉽게 이해하기

"개발은 개발자만 알아야 한다? 아닙니다! 마케터도 기본을 알면 업무에 큰 도움이 됩니다." IT 회사에서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다면, 개발 관련 트렌드에 대한 이해는 큰 경쟁력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개발 경험이 없는 마케터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최신 개발 트렌드와 기본 개념을 알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1. API란 무엇일까?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이 서로 대화할 수 있게 도와주는 '언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예를 들어, 구글 지도 API를 사용하면 우리 앱에 지도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어요. <img src="https://developers.google.com/static/maps/documentation/urls/images/dir-bicycling-seattle.png?hl=ko" alt="구글 지도 API를 이용하여 경로를 표시하는 예" style="max-width: 600px; width: 100%; height: auto;"> API를 쉽게 이해하는 예 음식 배달 앱: 사용자들이 앱에서 주문하면, 이 정보는 배달 업체와 음식점의 시스템으로 전달되죠. 이때 API가 정보를 주고받는 역할을 해요. 소셜 미디어 연결: 다른 앱에서 "Google로 로그인" 또는 "Facebook 계정으로 가입" 같은 기능을 사용할 때 API가 필요합니다. 마케터가 홍보한다면?: "우리 API는 빠르고 안정적이며, 다양한 플랫폼과 연동 가능!" 추가 팁 API 문서 읽기: 마케터도 API 문서를 읽어 기본 기능을 이해하면 홍보 콘텐츠 작성에 도움됩니다. 실제 활용 사례 찾기: 자사의 API가 고객 문제를 해결한 성공 사례를 발굴하세요. REST API와 GraphQL 이해하기: REST는 가장 기본적인 API 방식이고, GraphQL은 더욱 유연한 데이터 요청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2. 클라우드 서비스: 더 이상 내 서버는 필요 없다? 과거에는 회사가 자체 서버를 관리했지만, 요즘엔 AWS, Azure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요. 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실행하는 서비스라고 보면 됩니다. <img src="https://images.squarespace-cdn.com/content/v1/60cfd646701da4034512a1c5/ca3d678a-cbfc-4c9c-bc79-9d3be9fb907e/AWS-Cloud.png?format=2500w" alt="AWS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style="max-width: 600px; width: 100%; height: auto;"> 클라우드의 장점 비용 절감: 필요한 만큼만 쓰고, 쓰는 만큼만 지불해요. 확장성: 고객이 많아지면 서버를 더 추가할 수 있어요. 유연성: 언제 어디서나 데이터에 접근 가능. 클라우드 활용 사례 e-커머스: 대규모 트래픽 처리를 위해 클라우드를 사용. 스트리밍 서비스: Netflix 같은 플랫폼은 클라우드를 통해 대량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제공. 마케터가 홍보한다면? "우리 서비스는 AWS 기반으로, 확장성과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추가 팁 클라우드 서비스 비교하기: AWS, Azure, Google Cloud의 주요 차이점을 이해하면 고객과 대화할 때 설득력이 높아져요. 클라우드와 보안문제: 클라우드 사용의 장점과 함께 데이터 보안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강조하세요. 3. 노코드(No-Code)와 로우코드(Low-Code): 비개발자도 앱을 만들 수 있다? 요즘에는 코딩을 몰라도 앱을 만들 수 있는 도구가 많아요. Wix, Bubble 같은 플랫폼이 대표적이에요. 비개발자가 간단한 웹사이트나 앱을 만들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img src="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fname=http://t1.daumcdn.net/brunch/service/user/cIuy/image/CrFQewdhy4Oj8p--Dj2ZHCIFzTE.png" alt="버블을 이용한 노코드 앱 개발" style="max-width: 600px; width: 100%; height: auto;"> [이미지: 버블을 이용한 노코드 앱 개발 (이미지 출처: https://brunch.co.kr/@famelee/27)] 차이점 No-Code: 완전히 코딩 없이. Low-Code: 최소한의 코딩만으로. 활용 예시 마케팅 캠페인시 코딩없이 제작: 랜딩 페이지나 간단한 프로모션 웹사이트 제작. 내부 툴 제작에 사용: 회사 내부에서 사용할 간단한 데이터 관리 앱. 추가 팁 도구 선택하기: Bubble은 앱 제작, Webflow는 고급 웹 디자인에 적합해요. 직접 만들어 보기: 간단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보며 No-Code 도구가 갖고 있는 한계를 체험하세요. 고객 사례 활용: No-Code 도구를 통해 빠르게 성공한 고객 사례들을 소개하세요. 4. 데이터가 왜 중요한가요? 현대 마케팅은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요. Google Analytics, Firebase 같은 툴을 사용하면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쉽게 분석할 수 있어요. <img src="https://www.reflectivedata.com/wp-content/uploads/2017/04/FireShot-Capture-2-Acquisition-Ov__-https___analytics.google.com_analyt.png" alt="Google Analytics를 이용한 데이터 시각화" style="max-width: 600px; width: 100%; height: auto;"> 데이터를 활용한 홍보 전략 맞춤형 메시지 전달: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이 원하는 메시지를 전달. 성과 측정: 어떤 캠페인이 효과적이었는지 데이터로 확인. 세그먼트 타겟팅: 고객 그룹을 나눠 각기 다른 홍보 메시지를 제공. 데이터 활용 사례 e-메일 마케팅: 고객의 구매 이력을 분석해 맞춤형 제안. A/B 테스트: 두 가지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두 가지 광고 메시지 중 어떤 것이 더 효과적인지 데이터를 통해 판단. 추가 팁 데이터 시각화 활용: 그래프와 차트를 활용해 데이터를 쉽게 전달하세요. 고객 행동 분석: 고객의 접속 시간, 클릭 패턴 등 고객의 행동을 파악해 홍보 전략을 세우세요. 데이터 보안 강조: 고객 데이터가 안전하게 관리된다는 점을 홍보하세요. 5. 최신 트렌드: AI와 머신러닝 AI(인공지능)와 머신러닝은 이제 IT 산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예요. 예를 들어, 고객이 좋아할 만한 제품을 추천하거나, 챗봇이 고객 문의를 처리하는 데 활용돼요. AI의 실제 사례 추천 시스템: Netflix가 "당신을 위한 추천"을 제공. 자동화된 고객 응대: AI 챗봇이 고객 질문에 실시간 응답. 이미지 인식: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제품 이미지를 업로드해 비슷한 상품을 추천. AI 활용 팁 고객 맞춤화: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광고를 제공. 자동화 도입: 반복적인 작업을 AI로 자동화해 업무 효율을 높이세요. 마케터가 홍보한다면? "우리 서비스는 AI 기반 분석으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추가 팁 AI 이해하기: 머신러닝, 딥러닝 등 주요 개념을 간단히 알아두세요. AI와 윤리: AI 사용 시 프라이버시 보호와 같은 윤리적 문제를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세요. 6. 오픈소스: 무료로 쓰는 고급 기술 오픈소스란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수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뜻해요. 대표적인 예로는 리눅스, 워드프레스, 그리고 OpenAI의 GPT 모델 등이 있어요. 오픈소스를 활용한 성공 사례 스타트업: 초기 비용을 줄이기 위해 오픈소스를 활용. 커뮤니티: 개발자 커뮤니티는 오픈소스에 호의적이기 때문에 커뮤니티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음. 개발 생산성 향상: 이미 검증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개발 속도를 높임. 마케터가 홍보한다면? "우리 서비스는 최신 오픈소스 기술을 사용해 빠르고 유연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그래서 마케터도 개발 트렌드를 이해하면 업무에 큰 도움이 됩니다. API, 클라우드, No-Code, 데이터 활용, AI, 오픈소스 등은 모두 현대 비즈니스에서 중요한 요소예요. 이러한 개념을 알면 홍보 메시지를 더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요. 요컨대, 개발 트렌드는 단순한 기술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마케팅 전략의 깊이와 성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개발과 마케팅은 함께 성장할 때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234
1
4
0
HJOO'S
HJOO'S·2025-01-14
뎁스노트 뉴스레터 보고 의견남기기에  요청드렸던 주젠데 바로 뎁스노트 뉴스레터 3호에 반영되었네요!!! 도움되는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0^bb 

질문R 프로그래밍 관련 질문입니다 (반복문, 데이터 저장)

library(RSelenium) # 가상서버에서 크롬으로 연결 remdr <- remoteDriver(remoteServerAddr='localhost', port=4445L, browserName='chrome') # 창 열기 remdr$open() # url 접속 (멜론 월간 TOP100) remdr$navigate("https://www.melon.com/chart/month/index.htm?classCd=GN0000") # 원하는 버튼 xpath 찾아서 클릭 remdr$findElement(using = 'xpath', value = '//*[@id="DM0000"]/a/span')$clickElement() remdr$findElement(using = 'xpath', value = '//*[@id="lst50"]/td[5]/div/a')$clickElement() # 현재 페이지 소스 읽어들이기 source <- remdr$getPageSource()[[1]] html <- read_html(source) # 노래 제목 뽑기 song_name <- html_nodes(html,'div.song_name') %>% html_text() song_name<-gsub("\n","",song_name) song_name<-gsub("\t","",song_name) song_name<-gsub("곡명","",song_name) song_name # 가수 뽑기 song_artist <- html_nodes(html,'div.info > div.artist') %>% html_text() song_artist <- gsub("\n","",song_artist) song_artist <- gsub("\t","",song_artist) song_artist # 가사 뽑기 song_lyric <- html_nodes(html,'div.section_lyric') %>% html_text() song_lyric <- gsub("\n","",song_lyric) song_lyric <- gsub("\t","",song_lyric) song_lyric <- gsub("가사프린트가사오류신고","",song_lyric) song_lyric # 데이터 프레임화 song_info <- data.frame(song_name=song_name, song_artist=song_artist, song_lyric=song_lyric, stringsAsFactors = FALSE) view(song_info) # 창 닫기 remdr$close()   안녕하세요, 어찌저찌 여기까지 와서 질문을 하게 되었네요ㅠㅠ 데이터 분석 수업의 과제 일환으로 R 분석을 활용한 트렌드 도출을 하게 되었는데 교수님께서 알려주신 것이라고는 본인이 짠 코드만 던져주신 것... 혼자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Selenium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걸 토대로 멜론 음원 차트에서 노래제목, 가수, 가사를 뽑아 정리하고자 하였습니다. 이것저것 찾아본 끝에, 저 코드를 돌리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오는데요 이렇게 1위부터 50위 까지의 정보를 하나의 테이블로 만들고 싶습니다...! 반복을 위해서는 for문을 사용하라고 하는데, 기초 문법 지식이 없는지라 구글링해서 아무리 따라해도 자꾸 오류만 나네요ㅠㅠ 제가 짠 코드가 비효율적이라면, 혹시 다른 방법이 또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1.5K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