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파일 이 iso파일을 윈도우에서 버추얼박스로 돌릴 땐 잘 돌아가던데 맥에서 vmware로 돌리니까 제대로 작동을 안하네요. 이 파일 작동시킬 수 있는 가상머신이 있을까요? 아니면 포기하고 그냥 윈도우에서 돌릴까요? 저 파일 원래 출처는 아래에 있습니다. 해커하우스북
상황 설명: VPN을 통해 SSH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VPN 사용 로그에 따르면 첫 번째 세션의 시작 시간은 2020-12-18 22:40:28이고 종료 시간은 2020-12-18 23:02:24입니다. 다음 세션은 2020-12-19 00:40:11에 시작하여 2020-12-19 00:52:32에 종료되었습니다. 사용자의 실제 IP는 111.118.29.66이고, VPN을 통해 할당받은 IP는 183.111.73.199입니다. 문제 상황: VPN이 종료된 후에도 SSH 서버 접속 로그에는 VPN을 통해 할당받은 IP(183.111.73.199)로의 접속이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VPN이 종료된 시점(2020-12-18 23:02:24)부터 다음 VPN 세션 시작 전까지(2020-12-19 00:40:11), 심지어 2020-12-19 01:02:20까지 접속이 유지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문의 내용 요약: VPN이 종료된 후에도 SSH 서버에 VPN 할당 IP로의 접속이 유지될 수 있는지 여부. VPN 종료 후 접속이 몇 분 정도 유지되며, 시간이 지나면 로컬 IP로 재접속되는지, 그리고 로컬 네트워크가 끊어지면 모든 접속이 종료되는지에 대한 이해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답변드리자면 이렇습니다. VPN이 종료된 후에도 SSH 서버에 VPN 할당 IP로의 접속 유지 여부일반적으로 VPN 연결이 종료되면, VPN을 통해 할당받은 IP 주소로의 모든 세션도 함께 종료되어야 합니다. 이는 VPN 연결이 네트워크 트래픽을 암호화하고 라우팅하는 터널 역할을 하는데, VPN이 종료되면 이 터널이 닫히고 트래픽이 더 이상 전송되지 않기 ...
현재 Xilinx petalinux에(임베디드리눅스) USB CDC를 사용하여 Windows PC의 시리얼통신프로그램과 통신을 성공하였습니다. ( c++ 코드상에서 /dev/ttyGS0 을 Open 하여서 읽기/쓰기 성공 ) 하지만 문제는 장치관리자에서 포트이름을보면 'ELMO GMAS' 라고 기본으로 들어가있는 값이 있는데요. 이 값을 제가 원하는 값으로 변경하고 싶습니다. Windows 에서 레지스트리값을 변경하여서 임의의 문자열로 포트이름을 바꾸는데는 성공하였지만, 다른 포트에 꼽으니 다시 원래대로 'ELMO GMAS' 로 변경됩니다. 어느 포트에 꼽아도 동일한 포트이름을 보이게하려면, 임베디드리눅스 내부에서 변경해야할것같은데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이부분에 대해서 아시는분 있다면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